내 속엔 내가 너무도 많아 당신의 쉴 곳 없네
내 속엔 헛된 바램들로 당신의 편할 곳 없네
내 속엔 내가 어쩔 수 없는 어둠
당신의 쉴 자리를 뺏고
내 속엔 내가 어쩔 수 없는 슬픔
무성한 가시나무숲 같네

바람이 불면 그 메마른 가지
서로 부대끼며 울어대고
쉴 곳을 찾아 지쳐 날아온
어린 새들도 가시에 찔려 날아가고
바람만 불면 외롭고 또 괴로워
슬픈 노래를 부르던 날이 많았는데

내 속엔 내가 너무도 많아
당신의 쉴 곳 없네

 

한국 가요의 “가시나무”라는 노랫말이다. 만족하지 못한 채 아픈 맘이 있다고 각인된 삶이 내 삶이라고 생각으로 일관되어온 시간이 있었다. 망상이고 생각일 뿐인 것을 진실이라고 믿으면서. 옛말에 “나물 먹고 물 마실 수 있으니 이 또한 행복이 아니겠는가?” 는 말이 있다. 그 말은 뭔가 채워지고 없던 것이 있어서 행복하다는 말은 아닌듯하다. 하지만 그 형체도 없는 그것을 진실이라고 믿고 찾아 헤매고 다닌다. 목마름과 갈등이었다. 그럼에도 영원히 목마르지 않는 생명수보다는 우선 갈증해소의 방법을 세상에 있는 사람들이 만들어놓은 방법으로 해결하려 한다. 그 방법의 취하고 버림의 향연 속에 뭔가 찾을 수 있을 거란 착각과 망상도 원 없이 했건만 그 길은 쉬이 나타나지 않았다. 채워지지 않는 그 갈증은 분별에서는 끝내 답이 나오지 않았고 찾아다닌 만큼 삶은 더 혼란스럽게 되어만 가고 있었다.

이 노랫말에서의 “내가”라는 존재는 누구인가? 나에게 있어서 “내”는 끝없이 들이밀고 들어오는 욕망, 욕심, 내가 너보다 나아야 하고, 인정받아야 한다는 일에 긴장의 끈을 놓지 못하는 욕심이란 것들이었다. 그렇다고 이런 생각을 한다는 게 나빠서 바꾸어야 한다는 일이 아니다. 그 일로 인하여 맘이 편치 않고 불만이 계속된다는 일이다. 또한 원인과 결과의 뿌리를 찾아서 해결될 일도 아니다. 이 갈증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사람이 만들어서 있는 것이 아닌 태초에 이미 스스로 존재하고 있는 우리가 태어날 때부터 갖추고 있는 그 본성이라고 방편으로 이름 붙여진 그것을 한번 체험해 보면 아! 이거! 할 것이다. 그다음, 당신의 쉴 곳 없네. 그렇다, 이 당신이라 함은 그게 곧 나이고 밤낮 생각으로 전쟁을 치르고 있는 내 맘이다. 그러니 그 내 마음이란 것은 본성의 체험으로 깨달아서 천국이 될 수도 있고 생각의 쓰레기 하치장으로 근근이 연극을 하면서 살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 쉴 곳 없이 살아가는 삶은 허상이고 실체가 아니었기에 항상 분주하기만 하고 불안할 수밖에 없었고 쉬어진다는 게 어떤 것인지도 모른 채 찾아 헤매고 만 다녔다. 이런 삶의 여정은 지치고 힘들 뿐인데도 포장 기술은 나이의 햇수와 비례하면서 느긋한 척하면서 살아가고 있다. 그러기에 내가 어둠이란 게 내 맘에 칩거하여 살고 있었기에 또 너무 오랫동안 함께한 시간이었기에 당연히 그러고 사는 게 삶이라고 착각하고 길들여져 있었던 것이다.

그렇다면 쉬는 게 무엇이며 노는 건 어떻게 하는 건가? 쉬게 되면 무슨 큰일이라도 날 것 같아 불안을 추스르기 위해 생각은 행글라이더처럼 계속 돌아가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자니 내 속엔 내가 어쩔 수 없는 슬픔도 있었다.
마음은 가시나무숲이 되지 않을 수 없게 되었고 그런 마음으로는 자신과도 잘 지낼 수 없으면서 또 다른 인간관계를 맺어야만 살아갈 수 있다고 생각했기에 바람이 불면 그 메마른 가지 서로 부대끼며 울고 있었다.”나 죽겠다” , “나 좀 어떻게 해달라”,또 “네가 왜 날 괴롭히느냐?”라고 잠에서 깨어나 눈뜨고 있는 동안에는 쉼 없이 생각 속에 경주를 해야 했고 쉬고 싶은 아우성은 쉴 곳을 찾아 지쳐 날아온 어린 새들도 가시에 찔려 날아갈 뿐이었다.
그것은 마음이 아프고 병이 난 것을 인정하지 않고 거기서 벗어나는 일은 불가능할 거라고 여기기에 포기하고 은폐하고 포장하며 살 수밖에 없다. 만족한 삶은 찾아 나서는 일도 없고 꼭 찾아야 할 일도 없으며 그냥 쉬어지게 되고 해야 할 이 있으면 해가면서 배고프면 밥 먹고 잠이 오면 자고, 더 이상의 욕구와 갈망이라고 이름 붙인 것에 끌려다니지 않게 된다.
즉 본성을 체험하면서부터 이것저것 분별할 여지도 없이 생각이 물썰매가 미끄러지듯이 빠져버리고 어떤 의미도 머무르지 않으면서 그 생각이라는 분별의 양변 어느 쪽으로도 치우침 없이 외줄을 타는 광대처럼 나아갈 수 있다. 이것을 중도라고 한다. 중도는 이쪽도 저쪽도 아닌 중간의 길이라는 뜻은 아니다. 이쪽저쪽 그 분별 자체가 부서진다는 의미가 좀 더 그 뜻에 가까운 방편의 표현이라 말할 수 있겠다.

내가 어쩔 수 없는 슬픔을 떼어내려 하고 기쁨을 찾아야 한다고 나를 속이는 가면도 써봤지만 그런 마음은 또 다른 망상의 물결로 닦아오기에 이 일! 즉 본성을 한번 체험하는 일 외에는 순간적이고 한시적인 일이란 걸 알게 되고 그러기에 내 속엔 내가 어쩔 수 없는 어둠들이 있을 수밖에 없는 일이라는 걸 감지할 수 있었다. 그 어둠들을 내가 어쩔 수 없다는 막막함을 경험했기에 난 이 길을 만나지 않고는 살아갈 수가 없었고 이것은 내 인생의 천운이었다. 어둠이 없으면 바로 빛이 아니겠는가? 이 본성을 체험하는 일이 그 한순간 빛이 비치는 일이다. 견성 즉 본성을 보는 한 번의 체험은 어떤 노력의 단계 단계를 거쳐 나쁜 것은 치우고 좋은 것은 보존하는 그런 게 아니다. 이 체험은 마음이 바로, 곧장, 한 찰나에, 번뇌에서 벗어나느냐, 머물러 괴로우냐, 둘 중 하나이지 중간이 없다. 그러기에 이 체험은 좋다, 나쁘다,는 분별 자체가 생각이 전에 이미 부서져버렸다고 해야 할까?

이 일은 살아가는 일이 공부이기에 바로 마음에 적용되는 실용적인 일이라 공부에 더 재미가 붙는다. 법은 법의 위치에 세속의 일은 세속의 위치에 놓이게 되고 할 일다 하면서 아무 일 없이 살아가고 있다. 그리하여 낯선 것(본성)에 익숙해지고, 익숙한 것(분별, 생각, 망상)에 낯설어져 가고 있다.
어느 드라마에서 이런 대사가 있었다. 마음이 아픈 사람을 치료하는 사람은 그 사람보다 더 아프거나 아팠던 사람이 할 수 있는 일이라고 했다.
내가 이 일을 시작하게 되고 사람들을 도와주는 일이라고 생각했던 것과 서로 고통의 시간을 공유했던 일들은 나를 나타내기 위한 수단으로 쓰이는 일일 때도 있었기에 맘이 편치 않고 불편한 병을 앓고 있었고 거기에는 내가 “도와주는 자”라는 건강하지 못한 의도가 있었음을 고백하고 싶다. 다만 나도 아픈 사람이기에 모임을 시작할 수 있는 동기가 되었으리라. 또한 불편하고 고통스러운 맘의 외침으로 나에게 찾아와주신 한 사람 한 사람에게서 나도 함께 위로받고 있었다.
다만 그렇게 다가오는 그분들과 함께 그 일을 할 수 있는 것은 나도 그런 아픔이 있었고 지금도 삶이 오랫동안 길들여져있는 습관의 아픔이 질기게도 고개를 쳐들 때도 있기에 그때가 공부가 되는 때이고 곧바로 분별의 번뇌에서 법계의 자리로 돌아오는 신비한 체험(마음이 편해지는)이 있기에 희망을 전해주고 싶었다. 이럴 땐 조용히 미소가 지어지든지 소리 내어 한바탕 웃을 수 있게 된다.
이젠 내 속에 내가 아무리 많아도 그냥 쉬어진다, 아니 쉬어야겠다, 쉴 곳이 없다, 는 마음의 시비가 없어졌다. 내가 아무리 많아도 문제가 되지 않으며 나를 굳이 찾을 필요가 없어졌다. 이게 바로 쉬는 것? 그러기에 “나”라는 것이 괴롭고 슬프다는 분별의 의미가 힘을 쓸 이유가 없어져 버린 것이다.

요즘처럼 지구촌 어디에도 예외 없이 공동과제를 두고 앓고 있는 시기에는 마음공부 즉 자신 보살피는 일을 하기에 좋은 시기인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