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주가 클라라에게 듣다
학생들이 온다. 우리 한글학교로 온다. 승주와 지우, 나래와 준이는 오늘 토요일도 바쁘다. 주말이지만 노는 일 다 밀쳐두고, 어김없이 ‘토요한글학교’로 온다. 주중에 그들이 다니는 학교에서 배우는 수업과는 다른 수업을 하기 때문이다. 오늘 토요일은 한국교과서로 한국 공부를 따로 하는 날이기에 더욱 분주하다. 무거운 가방만큼이나 얼굴도 힘들어 보인다. 이들 중에는 캐나다에 일정 기간만 살다 가는 학생들도 적지 않다. 그 중에는 유학생들도 있고, 부모님 직장을 따라 이곳에 와서 살고 있는 학생들도 있다. 짧게는 1년 길게는 5년 정도 캐나다에 머물고는 한국으로 돌아가는 학생들이다.
우리 한글학교에는 여러 부류의 학생들이 온다. 이민 와서 사는 가정의 자녀도 있고, 이곳에서 태어나 한국어를 잘 몰라서 배우러 오는 학생도 있다. 그런가 하면, 캐나다 현지인이 한류의 영향으로 한류를 즐기고자 한국어를 배우러 오는 학생도 있다. 학급 편성을 특별히 맞춤형으로 하여, 캐나다에서 몇 년 살다가 다시 한국으로 돌아가는 학생들만 모아서 가르치는 반도 있다.
이곳의 한글학교는 한국을 떠나온 사람들에게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익히게 하고, 한인 정체성을 일깨운다는 교육 목표를 가진다. 또 이곳 생활에 익숙해졌다가 다시 한국으로 돌아갈 사람들에게는 그 사이에 생긴 문화 격차를 좁혀 준다는 현실적 목표를 가지기도 한다. 그래서 한글학교의 수업은 한국 학생들이 배우는 교과서로 수업을 한다.
나를 비롯하여 몇몇의 선생님들은 한국에서 교사를 하다가 이곳에 와서 살기에 가르치는 데는 문제가 없지만, 가끔은 우리 학생들과 힘든 대화가 이어지기도 한다. 학생들은 영어로 말을 하고 선생님은 한국말로 대답을 한다. 특별수업이 있는 날에는 귀국반(한국으로 돌아가는 반)과 문화반(캐나다 현지 외국인반)이 함께 수업을 하기도 한다. 한국 학생들은 영어를 배우고 싶어하고, 외국인 학생들은 한국어를 배우고 싶어하기에, 그렇게 합동 수업의 방식으로 공부하는 것이다.
자기 나라의 문화를 다른 나라의 학생들에게 서로 가르쳐 주는 활동 방식으로 수업을 설계하고 운영한다. 캐나다 학생은 한국인 학생에게 영어로, 한국인 학생은 캐나다 학생에게 한국어로 가르쳐 주는 것이다. 문화반 학생들은 캐나다의 짧은 역사 속에 가슴 아픈 원주민 이야기를 들려 주었고, 귀국반 학생들은 한국의 드라마, K-POP, 한국음식 이야기로 이어지며 한국을 알리기에 여념이 없다. 바로 그때 느닷없이 승주가 “ 아! 나는 한국으로 가기 싫어, 다시 여기로 오고 싶어” 하면서 울먹울먹 외쳐댔다.
승주는 한국에서 우등생이었다. 여기 캐나다로 유학온 학생 중에도 공부를 매우 잘하는 모범 학생이다. 그런데 돌아가기 싫다고 눈물을 머금으며 외친다. 무슨 개인적 사정이 절박한 것일까. 고국으로 향해야 할 승주의 마음에 어떤 그늘이 내린 것일까. 승주는 어떤 가슴 아픈 영화의 이야기를 클라라 에게서 들었다고 한다. 그 영화 이야기를 듣고 난 승주는 종종 친구들에게 말하곤 했다는 것이다. “나는 한국으로 돌아가기 싫어.” 그런 승주의 생각이 오늘 수업 시간에 다시 터져 나온 것이었다. 클라라는 캐나다 현지 외국인 문화반 학생이다.
늪 속에서 말을 꺼내다
“조심해서 아래로 밧줄을 넣어요. 그리고 천천히 차를 뒤로 뒤로, 오케이 오케이!” 스산한 바람과 함께 겨울로 접어드는 하늘 배경으로, 누렇다 못해 다소 검은빛을 보이는 황야의 어떤 지점에 머리만 삐죽 내민 말 한 마리가 허우적대고 있고, 바쁜 사람들의 움직임과 외치는 소리가 TV화면을 가득 채웠다. 화면에는 이렇게 자막이 쓰여 있다.
<광야에 있는 작은 늪에 말 한 마리가 빠졌다. 뒷다리가 다친 것 같다. 위로 점프하지 못하고 나오지 못한 채 있다. 이웃 농장 사람들이 와서 꺼내주려고 하고 있다. – 캐나다 알버타주>
캐나다 알버타주는 위도가 높은 북쪽이라 겨울이 일찍 온다. 땅이 워낙 넓다 보니, 사람 사는 곳이 아득하게 드문드문 멀리 떨어져 있다. 사람의 자취 드문 거대한 자연의 영토이다. 록키 산맥을 지나고 나면 그냥 황량한 땅이 끝없이 이어지는 곳이다. 그런 어떤 지점에 야생말 한 마리를 구조하고자 트럭과 트랙트를 가지고 와서 안간 힘을 쓴다. 긴 장화를 신고 늪에 들어가서는, 며칠을 굶어서 배가 고파 죽어가고 있는 듯한 말을 구하려고 끙끙대는 모습을 텔레비전은 보여 준다.
그런데 내 눈에는 조금 이상하게 보이는 것이 있다. 왜 빨리 꺼내지 못하나. 서둘러 대충 묶어서 말을 꺼내면 될텐데 멀이다. 마치 애기를 다루듯 조심스럽게 너무나도 사랑스러운 손길로 말 머리를 연신 쓰다듬으며, “괜찮아, 이제 곧 빠져 나오게 될거야.” 말에게 말을 건네는 사람들 모습이 클로즈 업된다.
사람들의 정성스러운 도움으로 말은 이제 살 수 있다는 생각이 드는지, 늪에서 머리만 내놓은 채 먹이를 먹고 있었다. 주인 없는 야생 말 한 마리를 살리기 위해서 자신의 몸은 진흙투성이가 되어가는 것도 아랑곳 하지 않으며, 찬바람 속에서 애쓰는 이곳 사람들의 모습을 보며, 나는 문득 내가 있는 이 곳에 대하여 새롭게 각성한다. 대자연의 섭리 속에서 생명을 존중하고 사랑의 따뜻함을 일상에서 실천하고 있는 캐나디언의 심성과 정신 문화를 내가 발견하고 있는 것이다. 내가 살고 있는 이곳이 캐나다임을 다시 깨닫는다. 여기 오래 살아 오는 동안에 나도 모르는 사이에 내 마음 어딘가에 그런 정신의 동화가 일어났으리라.
클라라는 울었다
클라라와 내가 함께 본 영화는 ‘Drop Box’ 였다. 클라라는 나에게 이 영화를 꼭 같이 보자고 했다. 그녀가 몇 주 전부터 인터넷으로 어렵게 구한 표라고 했다. 밴쿠버에서는 이 영화관에서만 상영한다고도 했고, 하루에 한번만 상영하기에 좌석이 매진이라고도 했다. 무슨 의미가 있는 아주 좋은 영화라고도 했고, 무엇보다 한국말이 나와서 공부도 된다고 하며 꼭 나하고 같이 보고 싶다고 했다. 그녀의 준비와 부탁이 감사했다. 나는 그녀가 영어와 한국말을 섞어가며 열심히 설명하는 것을 들으며, 따라서 안으로 들어가 그 영화를 보게 되었다.
영화관을 가득 메운 사람들은 모두 백인들이었다. 내가 보기에 나와 같은 동양인은 거의 보이지 않았다. 한국말도 나온다는데 왜 이렇게 모두가 캐네디언들 뿐일까 하고 잠시 생각을 하는 중에 어느새 영화는 시작이 되었다. 귀에 익은 한국말이 흘러나오면서 낯익은 서울의 모습들이 오버 렙 되더니 깨알 같은 영어자막이 깔렸다 사라졌다 하곤 했다. 그런데 영화의 내용이 내 마음을 아주 힘들게 했다. 한국에 있는 많은 미혼모들이 아기를 낳고는 육아를 감당하지 못해서 버리는데, 이 아기들을 데려다 키우는 어느 목사님 부부의 이야기였다.
추운 겨울에 갓 태어난 아기를 어린 미혼모들은 어찌할 줄 몰라 버리기도 하는데, 어린 생명이 사라지는 것을 안타깝게 생각한 어느 노부부는 박스를 하나 만든다. 아기가 들어 갈 수 있는 작은 박스는 보온이 되도록 만들어 진다. 그리고 그 속에 아기를 넣으면 벨이 울리게 된다. 어느 순간이라도 벨이 울리면, 어떤 시간 어떤 날씨이라도 어김없이 노부부는 나가서 박스 속에 있는 갓난아기를 데려다 안으로 옮긴다. 자칫 추위에 생명을 잃을 수도 있는 아기들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그런 장치를 가리켜 베이비박스, 이 영화에서는 ‘Drop Box’ 라고 했다. 영화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많은 숫자의 미혼모들이 처한 안타까운 형편을 알려준다. 뿐만 아니라 장애를 갖고 태어난 아기들을 버릴 수밖에 없는 불쌍하고 안타까운 부모들의 이야기도 나오는 것이다.
화려한 서울의 겉모습과는 너무나도 다른 어둡고 칙칙한 뒷골목에서 일어나는 생명의 빛과 어둠을 취재하고 알리는 그런 다큐멘타리 영화였다. 영화를 보는 내내 나의 가슴은 먹먹했으며 슬프기도 하고 부끄럽기도 했다. 내 나라의 아픈 현실에 눈물이 나다가도 불끈 분노가 치밀어 올라왔다. 갑자기 승주가 한말이 생각이 났다. 나는 한국으로 돌아가기 싫어!
외국에서 살다 보면 너도나도 애국자 안 되는 사람이 없다고 한다. 나 또한 한국에서 교사를 했었고 또 캐나다에 와서는 재외동포2세 자녀들에게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다. 무슨 사명이라도 있는 것처럼 한글학교를 여러 개 설립하고 많은 시간과 내가 가진 재능을 몽땅 기부하며, 별로 알아주지도 않는 한글학교 일에 나의 삶을 다 바치며 지내왔다. 이제는 이곳 현지인들에게까지 한국말을 가르치는 것에 자부심을 느끼면서 살아왔다. 그들에게 한국의 문화와 역사 그리고 한국의 발전상을 알리며 열심히 봉사하며, 나 스스로 자부심을 갖고 보이지 않는 외교관이 되어 애국자의 마음으로 살아가고 있기에 정신적인 충격이 얼마나 컸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