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덕환(팔로알토 부동산 대표) 

세계 최강, 최고의 부자나라라는 미국이 하도 궁금해 2002년 금융권 취업비자를 얻어 샌프란시스코로 이민 온 지 어느새 21년째이지만 시월 이맘때가 되면 고국에서는 국군의 날(1일) 로 시작해 개천절(3일)로 이어지는 연휴가 되면서 가을 운동회도 열리고, 만산홍엽을 찾아가는 단풍여행이 절정을 이루는 아름다운 날들이 계속될텐데 하는 상상의 나래를 펴면서 미국에 사는 나는 이렇게 덩달아 달뜨게 된다. 또한 며칠 후 9일이면 우리 민족의 위대한 성군 세종대왕께서 백성들이 어려운 한자를 모르는 채 일상의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는 것을 안타까이 여겨 집현전에 당대의 학자들을 모아 연구를 시킨 끝에 세계 문명사에 길이 빛나는 한글을 창제한지 576돌이 되는 한글날이 돌아온다.  

 

지금으로 부터 47년전인 1975년 나는 동대문 야구장 앞에 위치한 고등학교에 진학하면서 받은 몇가지 신선한 충격이 있었기에 여기에 소회와 함께 한번 공유해 볼까 한다. 우선, 담임이시던 신계식 국어 선생님으로 부터 알퐁스 도데의 ‘별 이야기’를 배우면서 사춘기 풋사랑의 아름다운 감성이 모락 모락 피어 올랐는데, 그러한 감성은 영어시간이 되자 이젠 존함조차 가물해 죄송하지만 돋보기 안경을 쓴 인자한 선생님으로 부터 ‘검은고양이’ 등의 스릴러 작품으로 유명한 미국의 위대한 문호 에드가 알렌 포우의 명시 ‘애나벨리 (Annabel Lee) 의 아름다운 싯귀를 배우면서 이내 더욱 타올랐었다. 선생님이 별도로 정성껏 프린트 해오신 유인물로 수업을 진행하는 것이 나는 너무 신기 했었다. 애나벨리 영시 수업을  마친 선생님은 포우의 또다른 단편인 ‘아몬틸라도 술통(The Cask of Amontillado)’ (이)라는 단편 미스터리 스릴러 물로 수업을 이어 가셨는데 학교 바로 옆 청계천 7가 헌책방에서 각자 구입한 영문 문고판 책으로 열심히 배울 때 나는 ‘우와, 과연 고등학교에 진학하니 뭐가 달라도 다르네’ 하며 가졌던 감동이 지금껏 새롭다.  한편, 이와는 약간 다른 차원의 충격이랄까 놀라움도 있었는데, 그건 바로 1년위 선배들이 쉬는 시간에 각반을 돌면서 각자 속한 특별활동반의 소개를 하면서 우리 신입생들의 가입을 권유하러 다니던 일에 관한 것이다. 상업학교 답게 주산반, 부기반은 물론 원예반, 문예반, 밴드부 등의 하도 다양한 특활반의 선배들이 쉬는 시간마다 들어와서는 저마다 자신들의 반으로 가입하라며 열심히 광고하는 내용을 흥미있게 들었는데, 놀랐던 것은 불과 1년위일 뿐인데 도대체 어찌도 그리 어른스럽게 교탁에서 근사하게 발표를 잘 할수 있나 하던 것이었다.  그 중에서도 ‘우리말 지켜쓰기 운동’ 반에서 온 어떤 선배가 한 발표는 며칠 뒤 다가올 한글날을 앞두고 뚜렷한 기억으로 반추하게 된다. 근 반세기 전의 일이니 그 선배가 무슨 말을 했는지 조목조목 기억은 나지는 않지만, 그가 세종대왕이 창제한 아름다운 우리 한글이 당시 물 밀듯이 밀려오는 외래어에 위축되지 않도록 우리는 가능한 외국어는 배격하고 소중한 우리말을 잘 보존하고 지켜써야 하지 않겠느냐며 열변을 토할 때 솔직히 나는 놀란 가슴을 진정하기 어려웠던 것이다. 정말 대단했다. 

 

이제 그로부터 거의 오십년이나 지난 지금 생각해 보니 언어란 해당 문물이 시작된 곳에서 비롯된 사물의 전달체계라, 비록 외래어일 망정 그러한 문물을 수입하는 입장일때는 우리가 그걸 억지로 한글로 만들어 보급하는 일이란 얼마나 어렵고 낭비적인 일일까 생각해 보게 된다. ‘인터넷, 팹리스, 시스템 반도체, 스마트 폰, 전기차, 스페이스X 로케트, 아스테로이드 궤도 변경 시도용 우주선 충돌실험’ 등등 밀려오는 신문명의 쓰나미 속에 이제는 그 모든 것을 한글로만  전용해 표시하겠다고 날밤을 새우려 했다가는 숨가쁘게 발전해 나가는 문물을 미처 따라잡기도 전에 탈진하고 말 것이다.  오히려 김치나 K-Pop, 오징어 게임과 같은 K-드라마처럼 우리의 우수한 문물을 세계로 퍼뜨림으로서 자연스레 외국에서도 따라 쓰게 하는 방향으로 한국문화의 세계화를 위해 노력하는 것이 더 의미가 있는 일이 아닐까 싶다. 

 

한글이 우수한 글이라는 것은 인도네시아 어느 오지 마을에서 한글을 공식 표기 알파벳으로 사용하기로 했다는 수년전의 믿기 어렵던 보도를 굳이 상기하지 않더라도 아전인수식 단순한 자기만족의 차원을 너머 국내외적으로도 상당한 설득력을 갖는 객관적인 사실로 무한한 자부심을 갖게 된다.  한글이 그렇게 우수한 글이라지만 과연 개선해야 할 점이 전혀 없는 무오한 글 체계인가 하는 점에 대해서는 어쩔 수 없이 의문이 생길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우선, 한글로 표기할 수 없는 외국어가 많이 있다는 점인데 그 부분에 대해서는 오픈마인드로 접근해 볼 필요가 있다.  가령 한글로는 영어의 th 나 f, r 등을 표기할 방법이 없다는 것이다. 바늘 가는데 항상 따라다니는 ‘실’을 말하는 thread 는 과연 쓰레드인가, 뜨레드인가? 아니다, 그 중간의 발음인 것이다. 우리가 밥을 지어 먹는 쌀(Rice)은 미국인 들에게 종종 우스개 거리가 되는 머릿니 라이스(lice)가 아니라 ‘롸이스’라고 쓰고 발음하는 것이 더 설득력이 있다. 밤하늘에 빛나는 별인 Star는 ‘스타’가 아니라 끝부분의 혀를 말아줘 혀굴리는 발음으로 ‘스타아’라 해야 보다 정확하지 않은가. 동그라미 그리려다 무심코 그리는 ‘얼굴’ face는 페이스도 훼이스도 아닌 역시 그 중간발음인 것이다.  물론 외래어 표기에 관한 제안일 뿐이지만 이렇게 몇가지만 간단히 개선해도 한글이 표기할 수 없는 한계는 크게 줄일 수 있고 반대로 한글의 소통성은 훨씬 확장시킬 수 있다. 576돌 한글날을 앞두고 조국을 떠나 태평양 건너 샌프란시스코에서 이렇게 첨부된 그림처럼 가만히 제안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