밴쿠버 한인 정유진 학생(랭리 RE mt Secondary school 11학년)이 지난해 12월 미국New York Times 주최 ‘100 Word Personal Narrative Contest’ 글짓기 대회에서 준우승을 수상했다.
이번 대회는 전세계에서 12448명이 응모해서 82명이 결선에 진출했다. 준우승을 수상한 정유진 학생은 ‘My 98′ Old Friend’ (나의 오래된 98세 친구)라는 제목의 글로 황해도 해주출신의 정유진 학생의 증조 외할머니를 만났던 느낌과 대화를 추억한 글이다.

My 98-year-old friend
My great-great grandma with her wrinkly eyes, who can barely open her eyes, greeted me with a smile. She called me “ddongangagi”, which means ‘sweety’ in Korean. After finishing dinner, the music leaked out from the old radio with a familiar rhythm that made us humble along. “Arirang Arirang…” My great-great grandma sang along quietly, and her eyes twinkled like a pearl shielded, deep under the ocean. She was no longer my great-great grandma, but a 16-year-old girl in the middle of the battlefield of the Korean War singing for freedom. I held my hand with the girl and sang.
‘아흔여덟살의 나의 베스트 프렌드’
눈가에 세월의 흔적을 간직한듯한 깊은주름이 생기신 나의 증조할머니는 오랫만의 고국방문에 만난 나를 보시고는, ‘우리 똥강아지 왔구나!’라고 하며 환하게 웃어주셨습니다. 저녁식사를 한 후, 오래된 라디오에서 귓가에 익숙한 노래가 흘러 나왔습니다. ‘아리랑,아리랑,아라리요…’ 증조할머니는 이내 그 가락이 반가우셨는지 눈이 깊은바닷속의 진주처럼 빛나듯 소녀같은 모습으로 조용히 읊조리며 그 노래를 따라 부르셨습니다. 무엇이 평소에 눈을 뜨는 것조차 힘들어 하시는 증조할머니를 그러한 아름다운 모습으로 만든 걸까요? ‘아리랑’노래를 읊조리는 그녀는 더이상 나의 증조할머니가 아닌, 칠십여년전에 자유와 평화를 간절히 원하며 노래를 부르던 시절의 소녀였습니다. 나는 그때 그 소녀와 손을 잡고 ‘아리랑’노래를 조용히 따라불렀습니다.